본문 바로가기
트렌드정보

2023트렌드코리아 키워드 평균실종(Redistribution of the Average)이란?

by 기쎈언니 2023. 2. 24.
반응형

 


안녕하세요. 본격적으로 2023년이 
시작되기 전에 김난도 교수님의 
2023 트렌드코리아를 제대로 정리하는 
과정이 필요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평균실종


1. 평균 실종(Redistribution of the Average)이란 무엇인가?


2023트렌드코리아에서 첫 번째로 잡은 
키워드가 바로 평균실종인데요. 

이제는 평균이란 개념이 약화되어 
평균을 낸다는 것 자체가 의미가 
없어진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말하면 좀 어렵죠?

그럼 이렇게 생각해 볼게요. 
수학시험을 봤을 때 100점부터 0점까지
다양한 점수대가 있었을 거예요. 
그 점수를 다 모아서 평균을 내니까 60-70점을
맞은 사람들이 가장 많았다면 60-70점 
맞은 사람들을 평균수준이라고 했죠. 
그런데 이제는 중간 정도인 60-70점 
대에는 사람들이 많이 몰리지 않는다는 거예요!

"결국 0점 맞은 사람이나 100점 맞은 사람은 많아도 
중간 정도인 60-70점을 맞은 사람은 거의 없다는 뜻이랍니다."

2. 평균실종의 예는?

소비가 고가&저가, 짠테크&럭셔리 
이런 식으로 양극화되고 있는데요. 
명품시장이나 저가브랜드의 규모는 
점점 커지는데 중가브랜드는 폐업을
맞이하고 있죠. 

그 중에 한 예가 바로 이디야인데요. 
중가 브랜드인 이디야보다 오히려
싼 가격을 앞세운 메가커피나 
컴포즈커피로 가거나 아예 
돈을 더 주고라도 스타벅스나 
바리스타의 고급 커피를 마시러 
가는 것이죠. 

플랫폼도 마찬가지에요. 
당근마켓, 배달의민족, 카카오톡
이런 식으로 사람들이 절대적으로 
어느 하나에 집중되고 있어요. 

사실 카카오나 당근마켓, 배민 말고도
비슷한 플랫폼들이 많지만 사람들은
다른 곳으로 흩어지지 않아요. 

3. 평균 실종(Redistribution of the Average)이 발생한 이유는?

평균실종이 생긴 이유 중 가장 큰 것은
바로 SNS이고요. 
나만의 취향이나 개성을 소비하는 
초개인화된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거든요. 

4. 평균 실종(Redistribution of the Average)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빈익빈 부익부는 더 빠르게 확산될 조짐인데요. 
결국 이런 시대에 퍼스널 브랜딩을 통해 
대체불가능한 상품과 수요 창출이 
더 중요해질 전망입니다. 

요즘 유튜브에서 성공한 인플루언서들은
어떤 특정 집단에서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만으로도 성공하는 것처럼요. 

정확한 타겟팅으로 집중적인 타깃을 
대상으로 해야 성공할 수 있겠네요. 

1020 무신사, 에이블리나 
4050 퀸잇, 5060 푸미도 
그런 의미에서 성공한 플랫폼이고요. 

이번 2023트렌드코리아를 정리해보니
제가 하마터면 시대를 역행할 뻔 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시 올해의 계획이나 전략을 대폭
수정해 봐야겠습니다. 

반응형

댓글